아이비리그란 미국 북동부 지역의 8개 사립대학 즉, 하버드(Harvard), 예일(Yale), 펜실베이니아(Pennsylvania), 프린스턴(Princeton), 컬럼비아(Columbia), 다트머스(Dartmouth), 코넬(Cornell) ,, 브라운(Brown) 대학교를 통틀어 부르는 말입니다.
이번에는 8개 대학 중 네 번째에 있는 프린스턴 대학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개요
프린스턴 대학교는 하버드, 예일, 스탠퍼드와 같이 HYPS라고 불리는 최상위급 대학입니다. 특히 순수학문 분야에서는 이들 네 대학 중에서도 최고로 평가받습니다.
프린스턴대학교는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학생 1인당 기부금이 가장 많으며, 설립자 이름이 학교 이름이 아닌 몇 안 되는 최상위권 대학교 중 하나입니다.
캠퍼스는 2개 있으며, 인문,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등 4개 분야에서 학부 및 대학원 교육을 제공합니다. 의학, 법학, 경영, 교육 등의 특수대학원은 없습니다.
2. 역사
1746년 뉴라이트 장로교 신자들이 뉴저지주 엘리자베스에 뉴저지대학을 설립했습니다. 대학은 미국의 스코틀랜드 장로교의 교육 및 종교적 중심지였고 목사 양성이 목적이었습니다. 1756년 대학은 뉴저지주 프린스턴으로 이전했습니다.
1768년 존 위더스푼이 총장이 되었으며 재직동안에 대학의 초점을 목사 양성에서 새 미국의 리더십을 위해 인재를 양성하는 것으로 바꾸었습니다.
1812년 뉴저지대학의 8대 총장 애쉬빌 그린은 인근에 프린스턴 신학교를 설립하는 것을 도왔습니다. 오늘날 프린스턴대학교와 프린스턴 신학교는 별도 기관으로서 교차 등록과 공동도서관 같은 서비스를 포함한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1896년 대학이 있는 마을을 기리기 위해 대학 이름이 프린스턴대학교로 공식적으로 바꾸고 대학교가 되었습니다.
1900년 대학원이 설립되었습니다.
1919년 건축대학이 세워졌습니다.
1933년 알버트 아인슈타인이 프린스턴 캠퍼스에 사무실을 두고 고등연구소의 평생회원이 되었습니다.
타 대학과 합병 작업이 무산된 뒤 1969년 여성을 처음으로 학부생으로 받아들였습니다. 신입생과 편입생 100명 등 여성 148명이 언론의 관심 속에 입학했습니다.
3. 학부
학부 중심의 대학으로 사회과학, 인문학, 공학, 자연과학 모든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교육과 수준을 자랑할만큼 팔방미인입니다. 인문, 자연과학, 사회과학쪽은 세계 초일류입니다.
프린스턴 대학의 학부생들은 개별 학과에 지원하지 않고 일단 대학으로 입학합니다. 등록 후에 학점을 취득한 후 문학사(A. B.) 또는 공학사(BSE) 학위를 받습니다. 학생들은 37개 전공(컴퓨터과학은 둘 다 가능)과 55개 학제 간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대학원 과정은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의 42개 학과 및 프로그램에 설치되어 있다. 의학대학원, 법학대학원, 경영대학원, 교육대학원 등 특수대학원은 없습니다.
다른 아이비리그 학교들과 마찬가지로 정상의 위치를 지키기 위해 미국인은 물론이고 유학생에게도 자국민과 동일하게 최대 전액 장학금 제공, 연구시설 확충, 국내외 인턴십 확대, 전교생 기숙사 제공, 전세계 최고 수준의 교수진 초빙 등 엄청난 교육투자를 하고 있는 학교로 유명합니다.
순수학문을 포커스해서 뛰어난 학자를 배출한다는 편견과는 다르게 사실 이곳의 학부 졸업생들의 주요 진로는 금융권과 IT 분야가 많습니다. 투자은행과 사모펀드로 진출하는 경제학 전공자들은 물론, 수학과 물리학 전공자들도 학부 졸업 후 헤지펀드의 퀀트로 다이렉트로 취업하여 학부 졸업 초봉으로 4~5억 원에 달하는 거금을 받는 하이파이낸스(High-Finance) 커리어를 택하는 숫자가 많은 편입니다. 이렇게 문이과 구분 없이 금융권이 인기다 보니 금융권 진출자들을 위해 ORFE (Operations Research and Financial Engineering)라는 금융공학 전공을 개설하기도 했습니다.
세간에 알려진 유명한 동문들을 봐도 금융권과 IT업계쪽에 많습니다. 세계 최대 부호인 아마존의 설립자 제프 베이조스, 구글의 CEO 에릭 슈밋, 세계 최대 투자 회사인 뱅가드의 창업자 존 보글, 세계 최대 헤지펀드 Two Sigma의 창업자 데이비드 시겔 등이 프린스턴 학부를 나왔습니다.
4. 학사제도 및 학교생활
엄청난 숙제 분량, 그리고 아무리 잘 풀어내려 해도 풀기 어려운 최고의 난이도를 자랑하는 과제물을 보면 학습량은 미국 최고라고도 합니다,
또한, 프린스턴에서는 Princeton Thesis라고 해서 학부 졸업에 논문을 요구합니다. 이는 한국 대학도 마찬가지이지만 보통 한국 대학들에 비해 체계가 단계적이고 엄격한 편입니다. 3학년 때 맛보기로 소논문을 한 학기에 하나씩 2개 쓰고, 4학년 때는 지도교수를 고른 뒤 전공과 관련 있는 논문을 씁니다.
학생들은 도서관이나 연구실 여러곳에서 공부하거나 숙제를 하고 있어서 캠퍼스의 낭만 같은 것은 찾아보기 힘듭니다.
학부생에게는 4년 내내 대학 주택이 보장되고, 98% 이상의 학생이 기숙사에서 생활합니다. 1, 2학년은 기숙대학에서 생활하며, 3, 4학년은 주로 지정된 상급자 기숙사에 들어갑니다. 식당은 기숙대학 내에 있지만, 모든 학부생은 식권을 구입해 식당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5. 입학 관련 정보
미국대학 입시의 준거가 되는 합격률은 4.38%고, 신입생들의 SAT 상위 25% 점수는 대략 1570점(만점은 1600점)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신입생의 지원기준이 되는 분야별 상위 25% 점수는 ERW 770점, Math 800점(각 섹션 만점은 800점)이라고 합니다.
일 년에 한국 국적과 미국 영주권이 있는 한국인을 합쳐 10명 내외가 입학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대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비리그 대학교 탐방(6) - 다트머스 대학교 (0) | 2022.11.06 |
---|---|
아이비리그 대학교 탐방(5) - 컬럼비아(Columbia) 대학교 (0) | 2022.11.05 |
아이비리그 대학교 탐방(3) -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0) | 2022.11.03 |
아이비리그 대학교 탐방(2) - 예일 대학교 (0) | 2022.11.02 |
아이비리그 대학교 탐방 (1) - 하버드 대학교 (0) | 202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