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대학이야기

아이비리그 대학교 탐방(6) - 다트머스 대학교

by 상해맘엘리 2022. 11. 6.

아이비리그란 미국 북동부 지역의 8개 사립대학 즉, 하버드(Harvard), 예일(Yale), 펜실베이니아(Pennsylvania), 프린스턴(Princeton), 컬럼비아(Columbia), 다트머스(Dartmouth), 코넬(Cornell) , 브라운(Brown) 대학교를 통틀어 부르는 말입니다.

이번에는 8개 대학 중 다섯번째에 있는 다트머스 대학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개요

 

다트머스 대학교(다트머스 칼리지)는 뉴햄프셔 주 해노버(Hanover)에 위치한 아이비리그 소속 사립대학입니다. 아이비리그 중에서 가장 학생의 수가 적은데요, 학교의 형태는 종합리서치대학이지만, 칼리지(College)라는 명칭을 그대로 쓰는 이유는 리버럴 아츠 칼리지와 비슷하게 학부생 육성을 중점으로 교육하겠다는 의지가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미국 독립 이전에 설립된 9개의 콜로니얼 칼리지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학교의 상징색인 다트머스 그린과 광활한 캠퍼스 주변의 환경 때문에 ‘Big Green’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학부인 리버럴 아츠 칼리지와 일반대학원 (Guarini School of Graduate and Advanced Studies), 1797년 설립된 의학대학원 (Geisel School of Medicine)[1] 1867년 설립된 공학대학 (Thayer School of Engineering), 그리고 1900년 설립된 경영대학원 (Tuck School of Business)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리버럴 아츠 칼리지인 4년제 학부에는 39개 부분 56개 전공이 개설되어 있으며, 학생들은 직접 전공을 설계하거나 복수 전공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1885년부터 박사학위를 수여한 일반대학원에는 19개 전공에 대한 석ㆍ박사 과정이 개설되어 있으며, 공학대학에서는 학사 과정와 석ㆍ박사 과정이 모두 운영되고 있습니다. 다트머스의 의학대학원은 미국에서 네 번째로 오래 되었으며,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경영학 석사 과정인 경영대학원의 MBA 프로그램은 미국 내에서도 가장 우수한 프로그램 중 하나로 손꼽힙니다.

 

다트머스대학교의 메인 캠퍼스는 뉴잉글랜드지방 코네티컷강 상류에 자리한 어퍼밸리에 있습니다

해노버 도시는 소도시로 대학인구가 도시의 절반이상이다보니 대학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편입니다.

 

2. 역사

 

1754년, 미국의 선교사 엘리저 휠록 (Eleazar Wheelock)이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기독교 신앙을 가르치기 위해 코네티컷 주 레바논에 무어 인디언 자선학교 (Moor’s Indian Charity School)를 설립한 것이 시초입니다. 1769년, 무어 인디언 자선학교가 재정적 지원을 필요로 하게 되자, 휠록은 뉴햄프셔 주 해노버에 새로운 교육 기관을 설립하였고, 당시 영국 조지 3세 정부에서 식민지총괄국무장관을 역임하고 있던 윌리엄 래기 다트머스 백작 (William Legge, 2nd Earl of Dartmouth)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학교가 대학의 모습을 갖추게 되자 그의 출신 지역 이름을 따 교명을 다트머스 칼리지로 변경하였습니다.

 

3. 학부

 

다트머스 대학교의 가장 큰 강점은 끈끈한 동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금융권, 법조계, 그리고 정치계 진출입니다. 특히  파이낸스 명문 학교로서 금융권에 거물들을 많이 배출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세계 5대 사모펀드인 Apollo Global Management의 창업주이자 CEO인 레온 블랙 (Leon Black), 세계 5대 사모펀드 TPG Capital의 Co-founder인 제임스 콜터 (James Coulter)등 수많은 금융권의 거장들을 배출했습니다.

다트머스 플랜 (Dartmouth Plan, D Plan)이라 불리는  쿼터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10주간 진행되는 4번의 쿼터에서 각 쿼터마다 세 과목을 수강해야합니다. 네 학기 중 한 학기는 방학입니다. 졸업을 위해서는 적어도 총 35과목을 이수해야합니다. 

외국어에 능통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중시하는 학풍 덕에, 해외교환학생 프로그램과 인턴십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약 75%의 학생들이 교환학생으로 해외에 나간다고 합니다. . 2020년 기준 프랑스, 독일, 중국, 일본 등 11개 국과 연결된 18개의 해외 외국어 훈련 (Language Study Abroad)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외국어 훈련 프로그램이 아닌 해외 학습 프로그램 (Foreign Study Program)을 통해 미국 각지와 타국에서 전공 공부를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사교클럽도 활발히 운영되고 있으며 탁월한 네트워크와 정보력을 자랑한다고 합니다.

교수 대 학생 비율은 8 대 1로, 낮은 편에 속합니다. 대학 교수는 강의를 할 때 비로소 그 존재 가치를 인정 받을 수 있다는 학교의 굳은 신념 덕에, 국제 학계에서 큰 업적을 이룬 교수들도 갓 취임한 젊은 교수들과 동일한 강의 시간을 할당받습니다.

2015년 까지는 일부 아이비 리그 학교들과 함께 경제력에 상관 없이 학생들을 선발하는 신입학 제도 (Need-Blind Admissions)를 운영하였으나, 2016년 부터는 해당 제도의 적용 대상을 지원자 전원에서 미국 시민권자 및 영주권자로 축소하였습니다.

다트머스 대학교는 Art & Science(예술과학대학), Geisel School of Medicine, Guarini School of Graduate and Advanced Studies, Thayer School of Engineering(공과대학), Tuck School of Business, 이렇게 총 5개의 학과대학이 있습니다.

이 중 공과대학은 미국에서 가장 오래되었다고 합니다.

 

4. 특징

다트머스 대학교에서 학생들은 주도적으로 창의적인 전공을 디자인할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전공이 공학부 한 학과이더라도 사회과학, 예술 등의 과목을 이수하여 창의력을 증대시킬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줍니다. 

이 곳은 다양성을 존중하고 다양한 문화가 교류되는 분위기입니다.

다트머스 대학교에서 찾는 인재상은 혼자로서의 능력이나 문제해결능력뿐만 아니라 팀플레이를 잘하는 리더십, 인성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갖춘 학생입니다.

 

 

5. 동문

 

다트머스대학교 동문들은 모교에 헌신적 기여를 많이 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넬슨 록펠러 미국 부통령 등 정부와 사법부에서 고위직으로 재직한 동문들이 많습니다. 파나마 전 대통령 에르네스토 데 라 과르디아도 1925년 다트머스대학교를 졸업했습니다. 언론계, 재계에도 많은 저명인사와 고위직 인사들이 있습니다. '왕좌의 게임'을 쓴 데이비드 베니오프와 '그레이 아나토미'의 제작자 숀다 라임스, 아카데미 극본상을 받은 마이클 필립스 등 문화계 인사들도 많습니다.